반응형
삼항 연산자는 C++에서 유일하게 3개의 피연산자를 입력 받는 연산자라서 이런 이름이 붙여졌다.
삼항 연산자를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한 줄에 다 쓸 수 있는 if, else라고 표현할 수 있다.
1 2 3 4 5 6 7 8 9 10 11 12 | #include <iostream> using namespace std; int main(){ int a = 3; int b = 5; int c; c = a > b ? a : b; return 0; } | cs |
위 소스를 해석하자면
공식같은 것이다.
a > b는 조건이고 ? 우측에 있는 것은 참:거짓으로 한다.
합쳐 쓰자면
결과 = 조건 ? 참 : 거짓
이 된다
위 예시는 아래 예시랑 같은 소스다.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| #include <iostream> using namespace std; int main(){ int a = 3; int b = 5; int c; if(a > b) c = a; else c = b; return 0; } | cs |
반응형
'공부 > 개발노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/C++] while문을 for문으로 바꿔보기 (0) | 2016.08.16 |
---|---|
[C/C++] while문 사용 예제 (0) | 2016.08.16 |
[C/C++] switch/case문 오류 해결 방법(case 안에 변수를 정의했을 때) (0) | 2016.08.16 |
[C/C++] switch/case문을 if문으로 변경해보기 (0) | 2016.08.16 |
[C/C++] switch/case의 사용 예시 (0) | 2016.08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