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| #include <iostream> using namespace std; int main(){ int age; age = 18; if( age <= 19 ){ cout << "미성년자입니다.\n"; } else{ cout << "성년자(성인)입니다.\n"; } return 0; } | cs |
age 값이 19 이상이면 성년자(성인)입니다.가 출력됩니다.
미만이면 미성년자입니다.가 출력됩니다.
19세를 초과한 20세 이상일 때 출력문
20세 미만 19세 이하일 때 출력문
if문은 만약에 ~한다면의 영문자를 따온 것입니다.
if{}면 ~면이라는 코드로 해석되고
if{}else{}는 앞에 조건이 만족하면 만족값을 띄우고 아니면 후방조건 값을 출력한다입니다.
위 코드를 해석하자면
19세 이하이면 "미성년자입니다."를 출력해라 아니라면 "성년자(성인)입니다."를 출력해라
입니다.
순서도로 표현하자면 아래와 같다.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| #include <iostream> using namespace std; int main(){ int age; age = 19; if(age <=19) { cout << "미성년자입니다.\n"; } return 0; } | cs |
else 없이 구현하기
저 조건이 만족하지 않으면 빈칸으로 출력됩니다.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| #include <iostream> using namespace std; int main(){ int age; age = 19; if(age <=18) { cout << "미성년자입니다.\n"; } else if(age == 19){ cout << "아쉽습니다.\n"; }else{ cout << "성인입니다.\n"; } return 0; } | cs |
if{} else if{} else 구현하기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| #include <iostream> using namespace std; int main(){ int age; age = 19; if(age <=17) { cout << "미성년자입니다.\n"; } else if(age == 18){ cout << "조금~ 아쉽습니다.\n"; }else if(age == 19){ cout << "아쉽습니다.\n"; }else{ cout << "성인입니다.\n"; } return 0; } | cs |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| #include <iostream> using namespace std; int main(){ int age; bool male; age = 20; if(age >= 20) cout << "성인입니다.\n"; else if(male == true) cout << "성인이 아니면 남자입니다.\n"; return 0; } | cs |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| #include <iostream> using namespace std; int main(){ int age; bool male; age = 20; if(age >= 20) cout << "성인입니다.\n"; else { if (male == true) cout << "성인이 아니면 남자입니다.\n"; } return 0; } | cs |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| #include <iostream> using namespace std; int main(){ int age; bool male; age = 19; if(age >= 20) cout << "성인입니다.\n"; if(!(age>=20) && male == true) cout << "성인이아니면서 남자입니다.\n"; return 0; } | cs |
[예시 1-1]을 논리 연산자로 표현
학점 정하는 프로그램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| #include <iostream> using namespace std; int main(){ int score; score = 90; if(score >= 91 && score <= 100){ cout << "학점 : A\n"; }else if(score >=81 && score <= 90){ cout << "학점 : B\n"; }else if(score >= 71 && score <= 80){ cout << "학점 : C\n"; }else if(score >=61 && score <= 70){ cout << "학점 : D\n"; }else{ cout << "학점 : F\n"; } return 0; } | cs |
-1 이하가 입력되면 "너무 적은 점수입니다. 다시 입력하시오."같은 메세지를 띄울 수 도있습니다.
그건 귀찮으므로 진도 다 빼면 그 때 프로그램 작성하겠습니다.
반응형
'공부 > 개발노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/C++] switch/case문을 if문으로 변경해보기 (0) | 2016.08.16 |
---|---|
[C/C++] switch/case의 사용 예시 (0) | 2016.08.16 |
[C/C++] 연산 중 발생한 형변환 (0) | 2016.08.16 |
[C/C++] AND, Shift 연산, OR 연산의 활용 (0) | 2016.08.16 |
[C/C++] XOR 연산을 이용해서 a와 b 값을 바꾸기 (0) | 2016.08.16 |